이를 위해 안 의원은 “3개 시가 인구와 재정 규모에 따라 예산을 분담해서 공동사무처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오산시의 독산성 세계유산등재 추진 ▲2016년 수원화성방문의 해 적극 협력 ▲문화·체육 기반시설 공유 및 입장료 감면 ▲농축산물 협력 및 적극 구매 ▲황구지천 개방을 통한 생태통로 연결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같은 안 의원의 주장에 대해 일단 수원과 오산은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수원시 관계자는 “안 의원의 생각은 결국 3개 시가 지역주민들을 위해 ‘광역시’급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를 위해선 우선적으로 중앙정부와 경기도 간에 행정적으로 풀어야 숙제들이 있는데 이것이 깔끔하게 정리된다면 충분히 검토할 만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오산시 관계자는 “교육과 대중교통 등 이미 3개 지자체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특히 관광과 관련해서는 ‘정조’를 공유하고 있어 충분히 가능성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화성시는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화성시 관계자는 “최근 함백산메모리얼파크(장사시설) 설치 문제 등으로 수원시와 갈등을 빚은 바 있어 아직까지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